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시가은하
- 벌집성단
- MicroService
- Argument
- AWS
- dunder
- function
- 커벌스페이스프로그램
- m82
- 가상환경
- 파이썬
- 혼공파
- 패키지 매니저
- 보데은하
- 이더리움
- virtualenv
- 관측일지
- monolithic
- MSA
- KSP2
- terraform
- python
- 천체관측
- Ethereum
- package.json
- CDK
- 파이썸
- m81
- 개발환경
- cloudformation
- Today
- Total
목록AWS (2)
ulismoon
최근 AWS인프라에 대한 수업이 필요하다는 요청이 있어서 1:1 과외를 8시간정도 굉장히 타이트하게 진행했다. 수강자는 스타트업에 근무하는 개발자였는데, 원래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가 인력 부족으로 백엔드를 해야 되는 상황을 만난 사람이었다. 일단 아무것도 모르지만 어떻게든 주물러서 만져본 경험이 있었고, 본인이 원하는 바가 뚜렷해 일반적으로는 하지 않을 것 같은 매우 밀도있는 수업을 진행했다.AWS 에서 추천하는 3-tier 아키텍처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개의 서비스에 대한 기본 지식을 전달하고 실습은 주말에 알아서 한 뒤 다음 시간으는 질문만 빠르게 받고 다음으로 넘어가는 식으로, 서비스에 대한 지식과 주의할 점 등만을 집중해 전달했다. 수강자의 주말동안의 복습과 스스로학습 덕에 이전 수업에 ..
태초에 Monolith 가 있었다 어떤 서비스건 처음 만들 때는 한 곳에서 모든 걸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편하다. 네트워크 구성을 하기도 편하고, 서비스 아키텍처도 단순하고, 개발도 한곳에서 모든걸 보면서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관리 포인트도 적고 뭐가 어디 있는지, 이게 어디서 와서 어디에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하기가 편하다. 지금도 많은 서비스가 이렇게 만들어져 운영되고 있고, 또 새로이 만들어지고 있을 것이다. 보통 이런 식으로 한곳에서 모든 기능을 다 담당하는 구조를 모노리식(Monolithic) 구조라고 한다. 예를 들어 PoC 를 하기 위해 간단히 만들어볼 서비스라면 굳이 리소스를 분리하지 않고 작은 서버 하나에 DB, 서버 로직, web proxy, cache 까지 모든 것을 다..